OS

· OS/Linux
1. 서버 볼륨 확인 df - Filesystem: 논리파티션 Size: 할당량 Used: 사용량 Avail: 여유공간 Use%: 사용률 Mount on: 마운트경로명 2. 파티션별 배정 용량 확인 (디스크 정보 확인) # 디스크 구조를 트리 형태로 확인 하는 명령어 lsblk 3. PV 정보 확인 pvs PV: 실제로 존재하는 물리 볼륨으로 하드디스크를 나타낸다. 4. VG 정보 확인 vgs VG: PV들이 모여서 생성되는 단위로 여러 하드디스크를 묶어 가상 디스크로 만든다. 예) /dev/sda3 과 /dev/sdb1을 가상 디스크로 묶는다. 5. 물리 공간 논리 볼륨 그룹 정보 확인 # LVM에 대한 정보 확인 vgdisplay LVM: 여러 물리 디스크를 마치 하나의 디스크 공간처럼 사용 가능하게..
· OS/Linux
1. 리눅스 파티션 1) 파일시스템 종류 대표적인 파일시스템으로 hd, sd, vd 등이 있다. hd: IDE 방식 디스크 sd: SATA/SAS와 같은 하드 디스크 vd: 가상 서버에 사용하는 디스크 2) 디바이스명 ex. /dev/sda1 sd: SATA/SAS와 같은 하드 디스크 (디스크 유형을 나타낸다.) a: 첫 번째 하드디스크 (하드 디스크의 우선 순위를 나타낸다. ex. 두 번째 하드디스크: b) 1: 주 파티션 (1~4 : 주 파티션 또는 확장 파티션 , 5~ : 논리 파티션) 2. LVM이란? 리눅스의 저장 공간을 효율적이고 유연하게 관리하기 위한 커널의 한 부분이다.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를 합쳐서 사용하는 기술로 한 개의 파일 시스템을 사용한다. 기존 운영체제는 파일시스템이 하드디스크와..